본문 바로가기

주식에 대한 모든것

[국내주식분석] LX세미콘(구 실리콘웍스) 주가전망 및 분석!!!

 

국내 대표 팹리스(시스템반도체 설계) LX세미콘이 '팹리스 불모지'에서 세계 시장점유율 10위권대에 안착하는 성과를 냈다고한다. 2014년만 해도 30위권 밖에 머물렀으나 지난해 13일까지 끌어올렸다. 주력 분야인 디스플레이 구동칭(DDI) 수요 폭발로 큰 폭의 외형성장을 이룬 덕이다!!

 

유독 팹리스 산업이 취약한 한국에서 LX세미콘의 선전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다만 LX세미콘은 시스템 반도체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단가가 낮은 DDI 중심 팹리스다. 전자기기와 미래자동차용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등 고성능 반도체칩 분야에선 대형 팹리스를 찾아볼 수 없다!!

 

국내 다른 중견, 중소 팹리스들이 LX세미콘이 이끈 상승 분위기를 타고 성장세를 이어갈수 있느냐는 국내 팹리스 생태계 강화의 최대 관건으로 부각되고 있다!!

 

##팹리스 불모지서 시장점유율의 꾸준한 확대를 보이고 있다##

 

LX세미콘에 따르면 작년 3분기 기준 LX세미콘의 팹리스 순위는 13위로 집계되었다. 2041년 31위에서 2019년 19위로 진입하더니 2020년엔 16위까지 올라섰다가 작년에 다시 기록을 경긴했다. LX세미콘이 꾸준히 실적 개선을 이뤄낸 결과다. 2020년 처음 매출 1조원을 넘긴 뒤 작년엔 1조 8988억원으로 껑충 뛰어올랐다.

 

지금까지 세계 상위 10개 팹리스 기업에 들어가는 한국 기업은 없었다. 이런 와중에 LX세미콘이 상승세를 타며 선전하고 있단 점은 고무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LX세미콘의 성장이 국내 팹리스 생태계 강화에 바로 연결되는 것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팹리스 불모지에서 LX세미콘이 성장할 수 있었던 건 자본력이 있는 대기업 계열사인 데다 LG그룹 내 LG전자와 LG디스플레이 등 안정적인 수요처를 확보한 덕이다. 특히 LX세미콘의 사업구조는 모바일과 디스플레이 등에 주로 적용하는 DDI 의존도가 높아 '한국의 퀼컴', '한국의 엔비디아'로 거론하기에는 사업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물론 LX세미콘도 앞으로의 발전을 위해 MCU, SIC기반 전력반도체, BMS 등 제품군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LX세미콘의 2021년 이후 실적 3,700으로 현재 주가는 투자하기 매우 매력적인 가격으로 보여진다. 고점 168000원에 도달한 뒤 지금까지 약 -30프로의 조정구간을 겪고있다. 기존 매물구간이었던 12만 8천원보다도 하락한 현재 10만원대의 가격이기때문에 지금부터 충분히 매집한다면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22~23년 LX세미콘의 적정 주가 레벨은 18만원선으로 보인다. 하지만 영업이익률이 계속 좋아지고 있기때문에 그만큼의 프리미엄 가격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LX세미콘은 대차잔고 수량이 늘고있고 공매도 수량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는 만큼 인내심을 가지고 투자를 해야할 것이다.

 

<2022.02.18. LX세미콘 주가>

 

꾸준하게 실적이 향상되고 있고 앞으로의 투자처의 다변화 및 새로운 시장에 대한 인력보충 및 개발을 꾸준히 하고 있어2022년 이후의 성장이 매우 기대되는 회사이기때문에 인내심을 가지고 투자해보자!! 

 

** 투자에 대한 결정은 본인의 몫이며 이 글은 참고용으로만 보시고 신중한 판단하시길 바랍니다 **